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TIP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

by IIIIV 2020. 2. 14.

일반적인 비즈니스맨들 직장인들은 근무연수가 늘어날수록 연차로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일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연차를 퇴사시 수당으로 받게될 때 얼마나 지급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일반적으로 연차수당을 받는 경우는 퇴사를 하게 되면서 남은 연차를 수당으로 지급받게 되는 경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는 일이바뻐 여러 사정으로 연차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였을 때 남은 연차를 연말에 수당으로 지급 받게 될 텐데요.



연차는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의무적으로 법적으로 인정받는 휴가가 생기게 됩니다. 1년간 8할 이상을 근무 시 유급휴가 15일이 주어지게되는데 이게 바로 연차입니다.


이러한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한번에 알아볼 수 있는 자동계산기를 통하여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수당 자동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방법을 토대로 계산을 하려고 하다 보면 번거롭기도하고 실수를 할 수도 있어 연차수당 자동계산기를 통하여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한 방법이 있는데 돌아가는건 불필요한 일이 아닐까 싶어 연차수당 자동계산기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링크를 통하여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 이용을 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하겠습니다.



그럼 '노동 OK' 라는 사이트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사이트를 통하여 여러가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그럼 사이트의 아래로 내리면 '바로가기' 창이 있는데 보시면 '퇴직금 자동계산' , '연봉계산기' , '최저임금 자동계산'등 유용한 자동계산들이 많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희는 연차수당 계산을 위하여 먼저 '연차휴가 자동계산' 을 클릭하여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위와 같이 '입사일 기준(17.5.30 이후 입사자)' 에 대한 것과 '회계년도 기준 계산하기' 가 존재하고 있는데 자신의 상황에 맞는 탭으로 가서 계산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입사일과 계산일자를 입력하신 후 '계산하기'를 클릭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하기를 통하여 22년 근속하게 되었을 경우에 대한 휴가 발생일 , 휴가일 수 , 미사용시 수당 발생일 등이 자동 계산되어 나오게 되는데 제가 입력한 2년 근속시에는 휴가일수 15일이 나오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내가 소유하고 있는 연차 휴가일수를 확인한 후 연차휴가 계산 결과의 제일 아래로 내려가면 '연차수당 자동계산 바로가기' 버튼이 보일 것입니다.


그럼 이제 연차수당 자동계산을 하러 클릭하여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위와 같이 '통상임금 자동계산기' 페이지로 넘어가지게 될 것인데요. 1주 근무시간 , 급여액 , 연차휴가 미사용일 수 등을 입력하신 후에 '계산하기' 를 눌러 연차수당을 계산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주40시간 , 기본급 300만원 , 2년차 연차일수 15일로 입력하여 계산하기를 해보았습니다.



자. 저는 위와 같이 결과를 받아보았습니다. 연차휴가 1일에 대한 수당은 114,832원으로 나와 총 15일치의 연차수당은 총 1,722,480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고 나오고 있네요. 



시기만 잘 맞춰 퇴사를 하게되었다면 상당한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부분입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



이렇게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는데요. 크게 어려운부분이 없이 이용하실 수 있어 필요하시다면 위의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알려드린 연차수당 계산방법 자동계산기 이용 외에도 다른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으니 잘 활용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