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키고 윈도우가 실행이 되면 갑자기 요란스런소리가 나며 윈도우가 버벅되는 현상을 느껴보신적 있지 않으신가요? 이러한 현상때문에 작업관리자를 실행하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가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CPU와 메모리를 과점하는 현상을 보여 바이러스가 걸린건 아닌지 걱정이 되실텐데요.
오늘은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CPU와 메모리 과점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메모리 점유 해결방법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정체는?
언제부턴가 저의 노트북이 윈도우만 켜지면 윙~ 거리는 소리가 커지면서 발열현상이 일어나며 버벅거리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왜그런가 하고 작업관리자를 켜보니 CPU가 100%를 치고 메모리가 엄청나게 잡히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위의 경우 아직 6.3%의 CPU와 196.3MB의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지만 올랐다 내렸다 하는 현상때문으로 이 문제를 겪으신 분들은 저와 같이 50%이상의 CPU를 차지하는걸 보셨을 겁니다.
먼저 걱정하시는 바이러스나 랜섬웨어로 인한것은 아니니 걱정할 문제는 아닌데요. 그렇다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이 도대체 무엇이길래 저렇게 CPU를 차지하는가 하고 궁금하신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은 Windows Defender에 속해있는 보안 서비스인데요. 이름인 Antimalware(안티멀웨어) 에서 보이듯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같은 컴퓨터에 악영향을 미치는 멀웨어로부터 보호하기위해 수행되는 win10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백신 프로그램입니다만 문제는 위와 같이 많은 리소스를 잡아먹는다는 것입니다.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의 경우 실시간 감시와 같은 역활을 하는데 이는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백신프로그램만 설치하여도 해결이 가능하기에 CPU와 메모리 리소스를 많이 과점하는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정지하여 과점현상을 해결할 수 있겠습니다.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문제 해결 하기
그럼 지금부터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하는데요. 해결방법은 바로 실행을 중지하는 방법으로 아래를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키보드에서 '윈도우키 + R' 을 동시에 눌러주시면 위와 같이 실행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에서
MS-SETTINGS:
를 입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와 같이 제어판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에서 '업데이트 및 보안' 을 클릭하여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업데이트 및 보안' 설정창이 나오게 되는데 먼저 왼쪽 메뉴리스트에서 'Windows 보안'을 클릭하여 주시면 오른쪽창으로 새롭게 리스트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바이러스 및 위혐 방지' 를 클릭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로 들어와 지셨다면 위와 같이 '설정 관리' 를 클릭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창에서 마우스 스크롤을 통하여 '제외' 설정이 나올때까지 아래로 내려주시면 되겠습니다.
'제외' 까지 내리셨다면 '제외 추가 또는 제거' 가 보이실 텐데요. 이를 클릭하여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자 이제 '제외' 설정 화면까지 잘 넘어오셨다면 여기서부터 문제의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를 정지하기위한 설정을 하도록 할텐데요. '제외 사항 추가' 옆의 '+'를 클릭하여 파일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파일을 열기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에서
C:\Program Files\Windows Defender 경로로 이동하여 주신 이후에
파일명:MsMpEng.exe
위의 파일을 찾아서 '열기' 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자 알려드린데로 파일을 찾아 열기를 하셨다면 위와 같이 설정이 되셨을 텐데요. 여기에서 끝이 아닙니다. 한번더 설정을 해줘야하는게 있는데요.
다시한번 '제외 사항 추가' 옆에 '+' 를 클릭하여 이번에는 '프로세스' 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그럼 위와 같이 '제외 사항 추가' 창이 뜨며 '프로세스 이름 입력' 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에 문제가 되고 있는 프로세스 명인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를 입력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위와 같이 파일1개 프로세스1개가 제외 사항 추가가 되셨을 텐데요.
저는 이렇게 설정을 한 이후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양이 1% 이하로 내려가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종종 위와 같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를 정지하여도 CPU와 메모리 과점이 해결이 안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럴 경우에는 따로 백신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 보호가 되고 있다면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에서 '실시간 보호' 를 꺼주시면 해결되겠습니다.
여기까지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의 CPU와 메모리 과점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동안 이로 인하여 PC성능이 느려지고 발열증세를 겪으셔서 많이 어려움을 겪으셨을텐데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신청 및 자격 조건 (0) | 2020.04.10 |
---|---|
우체국 준등기 조회 바로가기 및 방법 (0) | 2020.04.06 |
쿠팡 판매자센터 로그인 하기 (0) | 2020.04.01 |
천수애 가격 천수애진 콜라겐 효과 (0) | 2020.03.26 |
2020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하기 (0) | 2020.03.20 |
댓글